더 정성스럽고, 더깨끗하고, 더 경제적인 제사/시제/고사 상차림 전문

    현재메뉴

    기제(忌祭)란?

    고인이 돌아가신 날(忌日)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

    오늘날 보통 제사라고 불리는 것이 기제다. 기제의 봉사(奉祀)대상은 과거에는 [주자가례]에 따라 4대조까지였으나 요즘에는 가정의례준칙에 의거, 2대조까지와 후손이 없는 3촌 이내의 존. 비속에 한해서만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제사시간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 자정부터 새벽1시 사이 모두가 잠든 조용한 시간에 지냈었다.

    차례(茶禮)란?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에 간단히 지내는 제사.

    차례 : 원래 '다례'라고 하였다. 요즈음에는 정월 초하룻날과 추석에만 행하는 것이 관례로 되었다.

    연시제(年始祭) : 정월 초하룻날(설날) 아침에 드리는 제사로서 봉사대상은 원래 4대조 까지 하였으나 요즘은 2대조까지만 하기도 한다. 차례 드리는 방법은 봉사 대상이 되는 여러 분을 한꺼번에 모신다. 지방은 합사(合祀)하는 경우 한 종이에 나란히 쓴다. 메(밥)는 떡국으로 대신한다.

    추석제 : 음력 8월 보름(추석)에 지내는 제사이다. 차례를 지내는 봉사 대상은 모두 직계 조상으로 하며, 제수는 새로 익은 햇곡식과 햇과일로 한다.

    사시제 : [사제편람]에는 시제야말로 제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되어 있지만, 요즈음에는 이 시제를 거의 지내지 않는다.

    묘제(墓祭)란?

    산소에서 지내는 제사. 묘사를 비롯하여 시향(時享), 절사(節祀)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

    묘사(墓祀) : 고조까지의 조상을 제사 지내는 것으로 절차는 가제와 같으나 다만 초헌에 숙수(熟水) 만을 진설하고 유식(侑食)이없다.

    시향(時享) : 통상 요즈음 묘사라고 많이 알고있는 것으로 매년 음력 10월에 5대조이상의 친진묘 (親盡墓)에 지내는 제사. 시사(時祀) 또는 시제(時祭)라고도 한다.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이나 부녀자들은 참례하지 않으며 이름 높은 선조의 시향에는 많은 후손이 모여 성대하게 제사를 지낸다.

    절사(節祀) : 고례에는 없으나 서울을 중심으로한 여러 지역에서 한식 혹은 청명과 추석에 산소에 가서 간단하게 지내는 제사. 5대조 이상의 묘에는 지내지 않으며 먼저 산신제를 지내야 한다.

    한식(寒食)성묘 : 한식은 청명(淸明) 다음날로 동짓날로부터 계산해서 105일째 되는 날이다. 이 날은 예로부터 조상께 제사를 지내고 성묘를 가는 것이 관습이었다. 한식이란 말은 옛날 중국에서 비와 바람이 심해서 불을 때지않고 찬밥을 먹었다는 풍속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제란 ?

    고대에는 매년 계추(음력9월)

    아버지 사당에서 지냈으나 근래에는 일부지방에서 부모님 생신에 큰아들의 집에서 위패를 정청에 모시고 지내는 곳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